[사설] 경북동해안 피서객 감소… 원인분석 후 대책 따라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정상호 작성일19-08-21 19:48 조회6,95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경북동해안의 올여름 피서객이 크게 줄었다고 한다.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이 전년도의 20%수준에 그쳤다는 집계다.
경북도에 따르면 2019년 경북동해안 해수욕장 이용객은 102만3천여명으로 지난해 499만2천여명의 20%수준에 불과했다. 경북동해안 해수욕장 중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포항지역 해수욕장의 경우 올해 방문객이 21만6천여명으로 지난해 417만8천여명의 5%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도심에 위치한 영일대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수는 고작 5만여명에 불과, 지난해 247만여명과 비교하면 50분의1 수준에 그쳤다.
반면 영덕지역 7곳 해수욕장의 경우 지난해 90%수준인 38만2천여명이 찾았으며 울진과 경주지역 해수욕장도 피서객이 늘었다고 한다. 울진 7곳 해수욕장은 피서객이 지난해보다 4천여명늘어난 10만1천여명이며 경주 5곳 해수욕장은 2만5천여명이 증가한 32만3천여명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경북동해안 해수욕장 피서객 대폭 감소에 대해 경북도와 포항시는 포항국제불빛축제를 꼽았다.
매년 7~8월 피서철 영일대 해수욕장에서 열리던 불빛축제가 올해는 올해는 5~6월로 앞당겨 장소도 영일대해수욕장이 아닌 형산강 둔치로 바꿔 개최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포항국제불빛축제에는 통상 160~200만명이 찾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때문에 영일대해수욕장이 피서객 감소 직격탄을 맞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영일대 해수욕장을 제외한 포항의 다른 해수욕장들도 올해 피서객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불빛축제시기와 장소변경만이 포항지역 피서객 감소의 직접적 원인으로만 볼 수없다는 분석도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이와 함께 해수욕장 개장 후 7월 한 달 날씨가 좋지 않았던점과 폭염, 글로벌 경기침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젊은층을 중심으로한 피서 패턴 변화 등도 무시 못할 요인이다. 호텔이나 워터파크 등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피서지로 인기를 끌고 있는 곳으로 피서객이 대거 몰리는 현상도 전통적인 피서지인 해수욕장 피서객 감소에 한 몫 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전통 피서지인 해수욕장이 피서객 감소를 막기위해선 친절과 바가지 요금 근절이다. 실제 강원도 강릉시의 경우 바가지 요금에 대한 피서객들의 불만으로 홍역을 치뤘다. 지나치게 비싼 숙박료와 음식비로 인해 네티즌들은 차라리 그 돈이면 동남아로 여행가서 잘 쉬고 오겠다는 항의성 댓글이 인터넷상에 넘쳐났다.
경북도와 포항시 그리고 해수욕장 운영 관계자는 이번 경북동해안 피서객 감소의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대책을 세워나갔으면 한다.
경북도에 따르면 2019년 경북동해안 해수욕장 이용객은 102만3천여명으로 지난해 499만2천여명의 20%수준에 불과했다. 경북동해안 해수욕장 중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포항지역 해수욕장의 경우 올해 방문객이 21만6천여명으로 지난해 417만8천여명의 5%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도심에 위치한 영일대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수는 고작 5만여명에 불과, 지난해 247만여명과 비교하면 50분의1 수준에 그쳤다.
반면 영덕지역 7곳 해수욕장의 경우 지난해 90%수준인 38만2천여명이 찾았으며 울진과 경주지역 해수욕장도 피서객이 늘었다고 한다. 울진 7곳 해수욕장은 피서객이 지난해보다 4천여명늘어난 10만1천여명이며 경주 5곳 해수욕장은 2만5천여명이 증가한 32만3천여명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경북동해안 해수욕장 피서객 대폭 감소에 대해 경북도와 포항시는 포항국제불빛축제를 꼽았다.
매년 7~8월 피서철 영일대 해수욕장에서 열리던 불빛축제가 올해는 올해는 5~6월로 앞당겨 장소도 영일대해수욕장이 아닌 형산강 둔치로 바꿔 개최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포항국제불빛축제에는 통상 160~200만명이 찾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때문에 영일대해수욕장이 피서객 감소 직격탄을 맞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영일대 해수욕장을 제외한 포항의 다른 해수욕장들도 올해 피서객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불빛축제시기와 장소변경만이 포항지역 피서객 감소의 직접적 원인으로만 볼 수없다는 분석도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이와 함께 해수욕장 개장 후 7월 한 달 날씨가 좋지 않았던점과 폭염, 글로벌 경기침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젊은층을 중심으로한 피서 패턴 변화 등도 무시 못할 요인이다. 호텔이나 워터파크 등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피서지로 인기를 끌고 있는 곳으로 피서객이 대거 몰리는 현상도 전통적인 피서지인 해수욕장 피서객 감소에 한 몫 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전통 피서지인 해수욕장이 피서객 감소를 막기위해선 친절과 바가지 요금 근절이다. 실제 강원도 강릉시의 경우 바가지 요금에 대한 피서객들의 불만으로 홍역을 치뤘다. 지나치게 비싼 숙박료와 음식비로 인해 네티즌들은 차라리 그 돈이면 동남아로 여행가서 잘 쉬고 오겠다는 항의성 댓글이 인터넷상에 넘쳐났다.
경북도와 포항시 그리고 해수욕장 운영 관계자는 이번 경북동해안 피서객 감소의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대책을 세워나갔으면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