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 경북 북부권 토론…찬반 팽팽
페이지 정보
김범수 작성일21-03-10 23:02본문
↑↑ [경북신문=김범수기자]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가 주최하고 대구경북연구원이 주관한 대구경북행정통합 경북북부권역 대토론회가 9일 경북도청에서 열렸다. 사진제공=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의 마지막 권역별 토론회인 '경북 북부권 토론회'가 9일 오후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열렸다. 이로써 4개 권역으로 실시된 대토론회는 마무리됐다.
북부권역 대토론회는 안동, 영주, 상주, 문경, 예천, 영양, 봉화, 울진 8개 시군에서 현장 참석자 164명, 온라인 31명, 총 200여명이 참석했다. 유튜브 총 누적 시청건수는 525건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반대의 목소리와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됐다. 안동시의회 의원들이 행사장에서 피케팅 시위를 하며 행정통합에 반대의 입장을 강하게 나타냈다.
안동시 의회는 “도청이전 5년이 지난 지금 도청을 중심으로 한 경북북부지역 발전계획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고 소외현상 및 대구중심 쏠림현상도 우려된다”는 것이 반대 이유였다. 또 “경북도청 이전시 제시했던 균형발전을 지금 대구경북행정통합에서도 다시 거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제발표에서 최철영 공론화위원회 연구단장이 '대구경북행정통합 필요성 및 비전'을, 최재원 공론화위원회 연구단 팀장은 '통합된 대구경북의 발전 전략'을, 김용현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이 '북부권 글로벌 혁신 Great 프로젝트'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지정토론에서는 이도선 동양대 명예교수가 진행을 맡았다.
토론에서 김호석 안동시의회 의장은 “행정통합이 하향식으로 추진돼야 하나 현재 상향식으로 추진되고 있어 정당성의 훼손과 휴유증 유발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권기창 안동대 교수는 “시도 통합의 기본계획에 자치정부의 형태와 행정청사의 위치를 분명히 밝히는 것이 중요하며 눈치 보기를 해선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고문현 숭실대 교수는 "절차를 거쳐서 통합하기로 한다면 특별법을 이야기해야 한다"며 "처음부터 특별법이 나오면 굉장히 복잡한 문제가 생기는 만큼 공론화 과정에서 통합할 것인지 여부를 다시 한번 심도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신동우 상주상공회의소 회장은 “대구경북의 전체 대학이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현실이며 그 원인은 지역의 취업률 저하와 적은 연봉이 주요원인”이라며 “대구경북의 대학의 생존법은 행정통합으로 두 개의 자치단체가 합쳐 경쟁력 있는 쪽을 집중적으로 투자해 더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홍기 문경지역발전협의회 의장은 “행정통합을 통한 대구경북의 내재적 협력강화가 매우 필요하고 절실하다"며 "북부권 불안감 해소를 위해서는 대구신청사 이전 계획 완료 전에 행정통합을 확정해 경북의 신도청사를 통합행정타운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질문에서는 이재갑 안동시의원은 “행정통합을 해야 하는가? 이 계획이 한 번도 수립된 적이 없었나? 그전부터 해왔다. 지금 경북도청은 안동시와 예천군 사이에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 중재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대구와 경북 행정통합을 이야기하는 것은 모순”이라며 “4차 산업혁명은 소비자 중심이다. 행정도 소비자 중심으로 가야할 것이다. 또 연구단은 주민투표까지 가는 것은 맞지 않으니 공론화까지만 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공론화위원회 연구단은 “행정통합필요성과 비전, 발전전략, 글로벌혁신 Great 프로젝트 등은 통합이후 발전방향을 연구한 것"이라며 "연구에 대한 의견이 있으면 충분히 고려하겠다. 주민투표는 연구단에서 결정할 사안이 아니라”고 답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토론에 앞서 인사말에서 "지난해 대구 인구가 2만명, 경북은 2만6000명 감소하는 등 점점 뒤지고 있는데 판을 바꾸지 않으면 굉장히 어렵다"며 "공론화위원회에서 권역별 토론회를 마무리하면 직접 주민과 대화하며 통합 당위성과 비전 등을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김범수 news1213@naver.com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의 마지막 권역별 토론회인 '경북 북부권 토론회'가 9일 오후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열렸다. 이로써 4개 권역으로 실시된 대토론회는 마무리됐다.
북부권역 대토론회는 안동, 영주, 상주, 문경, 예천, 영양, 봉화, 울진 8개 시군에서 현장 참석자 164명, 온라인 31명, 총 200여명이 참석했다. 유튜브 총 누적 시청건수는 525건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반대의 목소리와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됐다. 안동시의회 의원들이 행사장에서 피케팅 시위를 하며 행정통합에 반대의 입장을 강하게 나타냈다.
안동시 의회는 “도청이전 5년이 지난 지금 도청을 중심으로 한 경북북부지역 발전계획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고 소외현상 및 대구중심 쏠림현상도 우려된다”는 것이 반대 이유였다. 또 “경북도청 이전시 제시했던 균형발전을 지금 대구경북행정통합에서도 다시 거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제발표에서 최철영 공론화위원회 연구단장이 '대구경북행정통합 필요성 및 비전'을, 최재원 공론화위원회 연구단 팀장은 '통합된 대구경북의 발전 전략'을, 김용현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이 '북부권 글로벌 혁신 Great 프로젝트'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지정토론에서는 이도선 동양대 명예교수가 진행을 맡았다.
토론에서 김호석 안동시의회 의장은 “행정통합이 하향식으로 추진돼야 하나 현재 상향식으로 추진되고 있어 정당성의 훼손과 휴유증 유발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권기창 안동대 교수는 “시도 통합의 기본계획에 자치정부의 형태와 행정청사의 위치를 분명히 밝히는 것이 중요하며 눈치 보기를 해선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고문현 숭실대 교수는 "절차를 거쳐서 통합하기로 한다면 특별법을 이야기해야 한다"며 "처음부터 특별법이 나오면 굉장히 복잡한 문제가 생기는 만큼 공론화 과정에서 통합할 것인지 여부를 다시 한번 심도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신동우 상주상공회의소 회장은 “대구경북의 전체 대학이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현실이며 그 원인은 지역의 취업률 저하와 적은 연봉이 주요원인”이라며 “대구경북의 대학의 생존법은 행정통합으로 두 개의 자치단체가 합쳐 경쟁력 있는 쪽을 집중적으로 투자해 더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홍기 문경지역발전협의회 의장은 “행정통합을 통한 대구경북의 내재적 협력강화가 매우 필요하고 절실하다"며 "북부권 불안감 해소를 위해서는 대구신청사 이전 계획 완료 전에 행정통합을 확정해 경북의 신도청사를 통합행정타운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질문에서는 이재갑 안동시의원은 “행정통합을 해야 하는가? 이 계획이 한 번도 수립된 적이 없었나? 그전부터 해왔다. 지금 경북도청은 안동시와 예천군 사이에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 중재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대구와 경북 행정통합을 이야기하는 것은 모순”이라며 “4차 산업혁명은 소비자 중심이다. 행정도 소비자 중심으로 가야할 것이다. 또 연구단은 주민투표까지 가는 것은 맞지 않으니 공론화까지만 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공론화위원회 연구단은 “행정통합필요성과 비전, 발전전략, 글로벌혁신 Great 프로젝트 등은 통합이후 발전방향을 연구한 것"이라며 "연구에 대한 의견이 있으면 충분히 고려하겠다. 주민투표는 연구단에서 결정할 사안이 아니라”고 답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토론에 앞서 인사말에서 "지난해 대구 인구가 2만명, 경북은 2만6000명 감소하는 등 점점 뒤지고 있는데 판을 바꾸지 않으면 굉장히 어렵다"며 "공론화위원회에서 권역별 토론회를 마무리하면 직접 주민과 대화하며 통합 당위성과 비전 등을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김범수 news1213@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