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육성 조례` 시급하다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7-02-14 21:04본문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창궐하고 있는 가운데 한우 최대 사육지 중 한곳인 경주시도 구제역 방어에 효과적인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을 위한 조례제정이 시급하다. 구제역으로 역대 최대 피해를 입은 2010년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전국적으로 347만8862마리의 우제류 가축이 살처분 돼 2조7383억 원의 막대한 손실이 난 바 있다. 현재도 방역에 소홀 할 경우 2010년에 버금가는 피해가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번 구제역은 서로 다른 2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밝혀져 백신접종이 효과를 발휘할지 의문시 되고 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발생해 북새통을 이룰 때마다 딴 나라이야기처럼 멀쩡한 '구제역 청정지역' 이 있다. 바로 전남지역과 충남 서산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일찌감치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육성 조례'를 제정해 구제역 등 전염병에 강한, 면역력을 기르는 친환경 축산을 실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남도의 경우 2006년, 5개년 계획을 세워 전국에서 처음으로 친환경 축산을 실천했다. 무항생제 사료와 유효 미생물 등 축산환경 개선제 공급을 확대했고 적정사육밀도 준수와 가축 운동장을 확보하도록 축산당국이 계도에 앞장섰으며 농가들도 적극 동참했다.
가축이 받는 스트레스를 높여 면역력을 약화하고 전염병이 돌면 대규모 피해로 이어지는 밀식 사육을 자제한 결과 전남은 현재까지 구제역이 한 번도 발생하지 않은 지역으로 남았다.
충남 서산시도 2012년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육성 조례'를 제정한 이후 꾸준히 녹색축산에 매달린 결과, 전국 최대 축산단지인 홍성군을 포함해 당진군, 예산군, 태안군 등 구제역이 발생한 인접 시군에 둘러싸인 상황에서도 구제역을 막아냈다.
경북도도 지난해 하반기에 뒤늦게 '경상북도 친환경축산업 육성 조례'를 제정해 실행에 나서고 있으나 학교를 대상으로 한 친환경축산물 공급 외에는 별다른 지원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경주지역 축산농가의 녹색축산에 대한 관심은 조사료 생산 등 일부에 대해서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초지조성과 가축운동장 확보 등 투자를 요하는 사업에 대해서는 손을 놓고 있다. 경주시의 경우 지난 1990년대 초반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던 때에는 147개소, 2천150㏊ 초지가 조성돼 있었으나 현재는 풍력단지와 관광단지, 골프장 조성 등으로 용도가 변경돼 26개소, 120㏊만 남아 명맥만 이어가고 있다.
경주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한다면 그것은 재앙이다. 한우축산 농가의 타격은 곧바로 먹거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관광서비스업에까지 영향을 준다. 경주시는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육성 조례'를 서둘러 제정해 스트레스 없고 전염병에도 강한 행복한 한우를 생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하지만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발생해 북새통을 이룰 때마다 딴 나라이야기처럼 멀쩡한 '구제역 청정지역' 이 있다. 바로 전남지역과 충남 서산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일찌감치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육성 조례'를 제정해 구제역 등 전염병에 강한, 면역력을 기르는 친환경 축산을 실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남도의 경우 2006년, 5개년 계획을 세워 전국에서 처음으로 친환경 축산을 실천했다. 무항생제 사료와 유효 미생물 등 축산환경 개선제 공급을 확대했고 적정사육밀도 준수와 가축 운동장을 확보하도록 축산당국이 계도에 앞장섰으며 농가들도 적극 동참했다.
가축이 받는 스트레스를 높여 면역력을 약화하고 전염병이 돌면 대규모 피해로 이어지는 밀식 사육을 자제한 결과 전남은 현재까지 구제역이 한 번도 발생하지 않은 지역으로 남았다.
충남 서산시도 2012년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육성 조례'를 제정한 이후 꾸준히 녹색축산에 매달린 결과, 전국 최대 축산단지인 홍성군을 포함해 당진군, 예산군, 태안군 등 구제역이 발생한 인접 시군에 둘러싸인 상황에서도 구제역을 막아냈다.
경북도도 지난해 하반기에 뒤늦게 '경상북도 친환경축산업 육성 조례'를 제정해 실행에 나서고 있으나 학교를 대상으로 한 친환경축산물 공급 외에는 별다른 지원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경주지역 축산농가의 녹색축산에 대한 관심은 조사료 생산 등 일부에 대해서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초지조성과 가축운동장 확보 등 투자를 요하는 사업에 대해서는 손을 놓고 있다. 경주시의 경우 지난 1990년대 초반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던 때에는 147개소, 2천150㏊ 초지가 조성돼 있었으나 현재는 풍력단지와 관광단지, 골프장 조성 등으로 용도가 변경돼 26개소, 120㏊만 남아 명맥만 이어가고 있다.
경주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한다면 그것은 재앙이다. 한우축산 농가의 타격은 곧바로 먹거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관광서비스업에까지 영향을 준다. 경주시는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육성 조례'를 서둘러 제정해 스트레스 없고 전염병에도 강한 행복한 한우를 생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