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화재용 목재건조장유치에 진력해야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6-01-31 18:49본문
봉화군에 문화재 보수용 목재건조장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경북도와 봉화군이 전략산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갈 길이 멀다. 이에 경북도는 이 사업을 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전략프로젝트 15건 중 하나로 선정하고 국가추진전략사업으로 격상시키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경북도가 정부추진 전략사업으로 격상하려는 것은 무엇보다도 2천억원에 달하는 방대한 사업비 때문이다. 경북도와 봉화군의 열악한 재정형편상 지자체단독 추진은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다. 더구나 경북의 경우 경주에이 벌어지고 있는 신라왕궁 복원과 황룡사 복원등 대형 문화재복원이 2025년까지 예정 돼 있어 시기적으로도 여유가 없을 뿐 아니라 이에 소요되는 막대한 양의 목재를 확보하는 것이 사업성공의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재 복원용 목재는 대규모 저목장에 입고돼 수종별로 적어도 3년~5년 이상 이상의 건조기간을 거쳐야 사용이 가능하다.
강원도 양양과 동해시 경기도 양평 등 타지자체와의 유치경쟁도 넘어야 할 산이다. 이미 이들 지자체는 건조장을 가동하고 있거나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어 봉화군의 경우 후발 지자체에 해당한다. 후발 지자체가 앞서 가지 위해서는 춘양목 등 목재 산지라는 점만으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향후 운영방안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에 봉화군은 관계공무원과 관련사업 용역팀이 지난달 일본 큐수 사가현 츄코크 목재공장 이마리 사업소 현장을 견학하는 등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국립문화재 보수용 목재건조장 건립은 산림청과 문화재청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 가능하다. 특히 문화재용 목재의 생산에 필요한 임야지정과 보호, 관리권이 산림청에 있고 수요처는 문화재청에 있는 만큼 건조장 설치에 양 부처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특히 경북도내 경주와 안동, 고령 등지에서의 대규모 문화재 복원이 예정 돼있는 만큼 문화재청의 의견을 수용하는 일은 원활한 문화재 복원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건조장의 위치 또한 고려의 대상이다. 문화재 보수용 목재의 경우 운송여건이 고려돼야 한다. 특히 철도교통망의 설치여부는 우선 고려 조건이다. 봉화군의 경우 이미 철도와 연결돼 있고 향후 경북순환철도가 설치 될 경우 울진 금강송의 반입이 원활해져 운영 면에서도 메리트가 커 질 수 있다.
이제 경북도와 봉화군은 물론 경주시와 안동시 등 수요처 지자체도 유치에 힘을 보태야 한다. 경북도 내(內)가 아닌 강원도와 경기도에 건조장 유치를 빼앗길 경우 향후 복원비용의 상승은 불을 보듯 훤하다. 소비자, 수요자중심의 건조장 설치의 중요성과 명분을 강조하며 경북도와 봉화군의 유치노력에 힘을 보태야 한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경북도가 정부추진 전략사업으로 격상하려는 것은 무엇보다도 2천억원에 달하는 방대한 사업비 때문이다. 경북도와 봉화군의 열악한 재정형편상 지자체단독 추진은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다. 더구나 경북의 경우 경주에이 벌어지고 있는 신라왕궁 복원과 황룡사 복원등 대형 문화재복원이 2025년까지 예정 돼 있어 시기적으로도 여유가 없을 뿐 아니라 이에 소요되는 막대한 양의 목재를 확보하는 것이 사업성공의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재 복원용 목재는 대규모 저목장에 입고돼 수종별로 적어도 3년~5년 이상 이상의 건조기간을 거쳐야 사용이 가능하다.
강원도 양양과 동해시 경기도 양평 등 타지자체와의 유치경쟁도 넘어야 할 산이다. 이미 이들 지자체는 건조장을 가동하고 있거나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어 봉화군의 경우 후발 지자체에 해당한다. 후발 지자체가 앞서 가지 위해서는 춘양목 등 목재 산지라는 점만으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향후 운영방안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에 봉화군은 관계공무원과 관련사업 용역팀이 지난달 일본 큐수 사가현 츄코크 목재공장 이마리 사업소 현장을 견학하는 등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국립문화재 보수용 목재건조장 건립은 산림청과 문화재청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 가능하다. 특히 문화재용 목재의 생산에 필요한 임야지정과 보호, 관리권이 산림청에 있고 수요처는 문화재청에 있는 만큼 건조장 설치에 양 부처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특히 경북도내 경주와 안동, 고령 등지에서의 대규모 문화재 복원이 예정 돼있는 만큼 문화재청의 의견을 수용하는 일은 원활한 문화재 복원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건조장의 위치 또한 고려의 대상이다. 문화재 보수용 목재의 경우 운송여건이 고려돼야 한다. 특히 철도교통망의 설치여부는 우선 고려 조건이다. 봉화군의 경우 이미 철도와 연결돼 있고 향후 경북순환철도가 설치 될 경우 울진 금강송의 반입이 원활해져 운영 면에서도 메리트가 커 질 수 있다.
이제 경북도와 봉화군은 물론 경주시와 안동시 등 수요처 지자체도 유치에 힘을 보태야 한다. 경북도 내(內)가 아닌 강원도와 경기도에 건조장 유치를 빼앗길 경우 향후 복원비용의 상승은 불을 보듯 훤하다. 소비자, 수요자중심의 건조장 설치의 중요성과 명분을 강조하며 경북도와 봉화군의 유치노력에 힘을 보태야 한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