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논리 배제한 노조 탄생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5-04-26 21:08본문
최근 경북에 정치 논리를 배제하고 순수한 처우개선에 주력하겠다는 노조가 전국 최초로 탄생했다.
연일 시위를 전개해 교통을 마비시켜 시민들의 불편을 가중시키고, 국민들의 혈세로 도입했을 경찰차를 부수는 노조의 모습과는 달라도 너무 달라 우선 그 참신함에 저절로 관심이 간다. 그 주인공은 지난 1월 발족한 '경상북도교육청 교육실무직 노동조합'(위원장 김혜란. 조리사)이다.
설립 3개월만에 교무행정사, 행정실무원, 특수교육실무사,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 등 학교 비정규직 대부분의 직종을 아우르며 450여명의 회원을 확보하며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현재의 '투쟁' 일변도의 노조에 지친 이 분야 직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반증이다.
노조 설립 이유에 대해 김 위원장은 "우리와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들어와 과도한 요구를 할 경우 정작 우리의 요구가 관철되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경우를 많이 봐왔다"는 것을 우선 든다.
맞는 말이다. 노조의 요구에 이 분야가 아닌 제3자가 개입해 그 요구를 부추길 경우 요구사항이 아무리 합당하다 할지라도 요구의 명분은 줄어들고 정치성은 높아진다. 이럴수록 국민들의 신뢰는 낮아지게 돼 있다.
이에 따라 이 노조는 학부모와 학생에게 피해가 가는 단체행동은 하지 않는다고 한다.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이보다 더 다행스런 경우가 없다. 그래서 이 단체의 요구에 교육당국이 더 적극적으로 응해 귀를 기울여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맞벌이 부모들의 어려움 해소하기 위해 도입했던 돌봄교실, 학교급식 제도가 이 종사원들의 파업으로 그 어려움이 계속된다면 이 제도를 도입한 것부터가 모순이다. 그러나 지금 와서 이 제도를 폐지할 수도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종사원들이 학생과 학부모들을 볼모로 연례행사처럼 이같은 파업을 하는 것은 학생과 그 부모들에게 지지를 받기는 어려울 것이다. 일부의 희생을 요구하며 자신들의 처우개선을 외치는 그 모양새가 우선 맞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교육당국의 허술한 대책이 파업의 한 원인을 제공했겠지만 이에 대한 실망과 분노를 표현하는 것이 학생과 학부모, 시민들에게 불편으로 돌아가게 해 '그들만의 시위'로 남게 되는 것이 오늘의 노조 시위의 현실이다.
'경상북도교육청 교육실무직 노동조합'이 현재 노동운동의 이같은 한계를 알고 탄생했다면 앞으로 이 분야 직원은 물론 학생과 학부모, 시민들의 성원을 입어 더욱 힘 있는 노조가 될 것이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연일 시위를 전개해 교통을 마비시켜 시민들의 불편을 가중시키고, 국민들의 혈세로 도입했을 경찰차를 부수는 노조의 모습과는 달라도 너무 달라 우선 그 참신함에 저절로 관심이 간다. 그 주인공은 지난 1월 발족한 '경상북도교육청 교육실무직 노동조합'(위원장 김혜란. 조리사)이다.
설립 3개월만에 교무행정사, 행정실무원, 특수교육실무사,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 등 학교 비정규직 대부분의 직종을 아우르며 450여명의 회원을 확보하며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현재의 '투쟁' 일변도의 노조에 지친 이 분야 직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반증이다.
노조 설립 이유에 대해 김 위원장은 "우리와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들어와 과도한 요구를 할 경우 정작 우리의 요구가 관철되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경우를 많이 봐왔다"는 것을 우선 든다.
맞는 말이다. 노조의 요구에 이 분야가 아닌 제3자가 개입해 그 요구를 부추길 경우 요구사항이 아무리 합당하다 할지라도 요구의 명분은 줄어들고 정치성은 높아진다. 이럴수록 국민들의 신뢰는 낮아지게 돼 있다.
이에 따라 이 노조는 학부모와 학생에게 피해가 가는 단체행동은 하지 않는다고 한다.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이보다 더 다행스런 경우가 없다. 그래서 이 단체의 요구에 교육당국이 더 적극적으로 응해 귀를 기울여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맞벌이 부모들의 어려움 해소하기 위해 도입했던 돌봄교실, 학교급식 제도가 이 종사원들의 파업으로 그 어려움이 계속된다면 이 제도를 도입한 것부터가 모순이다. 그러나 지금 와서 이 제도를 폐지할 수도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종사원들이 학생과 학부모들을 볼모로 연례행사처럼 이같은 파업을 하는 것은 학생과 그 부모들에게 지지를 받기는 어려울 것이다. 일부의 희생을 요구하며 자신들의 처우개선을 외치는 그 모양새가 우선 맞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교육당국의 허술한 대책이 파업의 한 원인을 제공했겠지만 이에 대한 실망과 분노를 표현하는 것이 학생과 학부모, 시민들에게 불편으로 돌아가게 해 '그들만의 시위'로 남게 되는 것이 오늘의 노조 시위의 현실이다.
'경상북도교육청 교육실무직 노동조합'이 현재 노동운동의 이같은 한계를 알고 탄생했다면 앞으로 이 분야 직원은 물론 학생과 학부모, 시민들의 성원을 입어 더욱 힘 있는 노조가 될 것이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