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大 이전은 '아랫돌 빼내 윗돌 괴는 꼴'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5-03-22 21:46본문
영주 동양대 경기도 동두천 이전과 관련 풍기지역민들이 본격적인 반대 운동에 돌입 했다.
최근 풍기읍 주민들은 시민통합대책위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반대운동에 나서고 있다. 특히 대책위는 동양대가 이전하면 지역경제 침체는 불 보듯 뻔한데 대학 이전이 결정된 후 지난 2년 동안 영주시와 지역정치권은 무엇을 했느냐며 영주시장, 국회의원, 시의원들에게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동양대는 내년에 동두천 캠퍼스를 개교 후 3월부터 학생을 받을 예정이며 현재 동양대 전교생의 40% 정도가 동두천으로 옮겨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982년 '수도권정비계획법'이 제정된 이후 수도권 대학설립이 사실상 금지돼 왔으나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 등 지원특별법'에 근거해 지방대학들의 수도권 이전이 가능해졌다. 영주 동양대의 이전 문제가 불거지기 전에 이미 강원 고성 경동대가 2014년 경기 양주캠퍼스를 설립했으며 충남 금산 중부대가 올해 경기 고양캠퍼스를 개설했다. 충북 제천 세명대도 경기 하남시 천현동 반환공여지에 하남캠퍼스를 추진하고 있다.
지방대학의 수도권 이전은 지방도시에 여러 문제들을 불러 온다. 대학은 그 지역의 교육과 연구뿐만 아니라 소득 안정과 고용창출, 문화산업을 이끄는 지역경제의 중요한 축이다. 따라서 지방대학의 일부 수도권 이전은 분명 그 지역발전에 큰 타격이다.
지방대학의 수도권 이전은 대학으로서는 '생존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인 측면이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우리나라 대학들은 현재 큰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지난 몇 년간 대학구조조정으로 대부분 지방대학들이 입학정원을 10% 이상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문제는 수도권 쏠림현상이다. 지방에 소재하고 있다는 지역적 한계로 어려움을 겪다보니 지방대학으로서는 기회만 있으면 수도권 진출에 목을 매는 게 현실이다.
이제 수도권 이전을 놓고 지역주민과 해당대학은 서로의 주장만 내세우지 말고 좀 더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우선 경북도와 영주시가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야 한다. 대학을 설득해 이전 시기를 늦추고 규모도 줄여야 한다. 그렇게 시간을 벌어놓고 대학지원책을 마련하거나 졸업생들을 위한 취업지원책을 마련해 타지역 학생들이 영주로 몰리도록 유도해야 한다.
정부도 이 시점에서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 등 지원특별법'을 손질해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을 근원적으로 저지해야 한다. 놀리는 땅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지방대 이전을 묵인 내지는 방조한다면 지방도시들을 죽이고 공동화를 부추겨 국가적으로는 더 큰 손실을 초래 할 수 있다.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은 '아래 돌 뽑아 윗돌을 받치는' 下石上臺의 우를 범하는 일이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최근 풍기읍 주민들은 시민통합대책위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반대운동에 나서고 있다. 특히 대책위는 동양대가 이전하면 지역경제 침체는 불 보듯 뻔한데 대학 이전이 결정된 후 지난 2년 동안 영주시와 지역정치권은 무엇을 했느냐며 영주시장, 국회의원, 시의원들에게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동양대는 내년에 동두천 캠퍼스를 개교 후 3월부터 학생을 받을 예정이며 현재 동양대 전교생의 40% 정도가 동두천으로 옮겨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982년 '수도권정비계획법'이 제정된 이후 수도권 대학설립이 사실상 금지돼 왔으나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 등 지원특별법'에 근거해 지방대학들의 수도권 이전이 가능해졌다. 영주 동양대의 이전 문제가 불거지기 전에 이미 강원 고성 경동대가 2014년 경기 양주캠퍼스를 설립했으며 충남 금산 중부대가 올해 경기 고양캠퍼스를 개설했다. 충북 제천 세명대도 경기 하남시 천현동 반환공여지에 하남캠퍼스를 추진하고 있다.
지방대학의 수도권 이전은 지방도시에 여러 문제들을 불러 온다. 대학은 그 지역의 교육과 연구뿐만 아니라 소득 안정과 고용창출, 문화산업을 이끄는 지역경제의 중요한 축이다. 따라서 지방대학의 일부 수도권 이전은 분명 그 지역발전에 큰 타격이다.
지방대학의 수도권 이전은 대학으로서는 '생존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인 측면이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우리나라 대학들은 현재 큰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지난 몇 년간 대학구조조정으로 대부분 지방대학들이 입학정원을 10% 이상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문제는 수도권 쏠림현상이다. 지방에 소재하고 있다는 지역적 한계로 어려움을 겪다보니 지방대학으로서는 기회만 있으면 수도권 진출에 목을 매는 게 현실이다.
이제 수도권 이전을 놓고 지역주민과 해당대학은 서로의 주장만 내세우지 말고 좀 더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우선 경북도와 영주시가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야 한다. 대학을 설득해 이전 시기를 늦추고 규모도 줄여야 한다. 그렇게 시간을 벌어놓고 대학지원책을 마련하거나 졸업생들을 위한 취업지원책을 마련해 타지역 학생들이 영주로 몰리도록 유도해야 한다.
정부도 이 시점에서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 등 지원특별법'을 손질해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을 근원적으로 저지해야 한다. 놀리는 땅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지방대 이전을 묵인 내지는 방조한다면 지방도시들을 죽이고 공동화를 부추겨 국가적으로는 더 큰 손실을 초래 할 수 있다.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은 '아래 돌 뽑아 윗돌을 받치는' 下石上臺의 우를 범하는 일이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