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는 경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4-02-12 19:06본문
동해안 지역에 사상 유례 없는 폭설이 내리고 있다. 경북지역은 지난 7일부터 엿새째 이어지고 있다. 이번 주말에도 눈이 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폭설로 피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길이 끊겨 교통이 두절되고 산골마을은 며칠간 고립돼 있으며 논밭의 비닐하우스가 곳곳에서 내려앉고 주택과 공장도 눈 무게를 못 이겨 무너지고 있다.
상당수 학교들이 휴업을 하고 있다. 심지어 인명피해까지 나고 있으며 피해가 심한 강원도의 경우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피해가 커지자 지자체 공무원과 봉사단체, 기업들이 복구작업에 직접 참가하거나 물품 및 성금 등의 지원에 나서고 있다. 군과 경찰도 제설작업에 큰 힘을 보태고 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보인다.
이번 폭설은 가히 재난 수준인데도 경북도의 역할이 보이지 않는다. 이런 재난이 닥치면 당연히 경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가 나타나야 하는데 지금은 존재감이 없다.
도지사와 도청의 간부들, 그리고 지자체장들이 폭설현장에 도착해 주민들을 위로하고 제설작업에 나선 사람들을 격려하는 것을 보면 재난상황은 분명하다. 그런데도 정작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잠자고 있다.
현재의 폭설 상황이라면 재난안전대책본부는 당장 군과 경찰 등 재난관련 ‘유관기관’들을 소집해 체계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대책본부가 아무런 역을 하지 않으니 군과 경찰은 부대단위로 제각각 지원에 나서고 있다.
또 자원봉사자 모집이라든지, 성금전달 등도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예컨대 자원봉사자를 모집한다면, 재난대책본부가 경북자원봉사센터와 협의해 자원봉사 모집에서부터 파견 지역, 봉사할 내용 등을 지원자나 단체에 구체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지금쯤 대학이나 기업, 사회단체 등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재해현장으로 가 자원봉사를 하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어디에 가서 무슨 지원활동을 할 것인지, 식사는 어떻게 해결하고,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등을 알아야 할 터인데, 지금 일손 부족한 해당 시군에 전화를 하면 여러 곳으로 전화를 돌려야 하는 상황이 전개될 것이 뻔하다. 이래가지고는 봉사할 마음을 잃을 수도 있다.
물품이나 성금지원도 마찬가지다. 피해 시군에 기증을 해야 할지, 경북공동모금회를 찾아가야 할지, 경북도청을 찾아야 할 지 막막할 것이다.
지금 당장 재난안전대책본부가 가동돼야 한다. 그래서 폭설이 닥친 시군을 위해 다른 시군 및 군과 경찰에 필요한 장비와 인원 지원을 요청하고, 자원봉사자를 모집해 적정인원을 적소에 파견해야 한다.
물품과 성금 모금을 위한 창구도 열고, 피해지역으로부터의 필요 항목도 보고받아야 한다. 이 상황이 크든 작든 주먹구구식으로 복구작업이 진행돼서는 안 된다. 이런 비상상황은 극복과정이 체계적이면 더 큰 재해를 대비하는 귀한 약이 될 수 있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이 폭설로 피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길이 끊겨 교통이 두절되고 산골마을은 며칠간 고립돼 있으며 논밭의 비닐하우스가 곳곳에서 내려앉고 주택과 공장도 눈 무게를 못 이겨 무너지고 있다.
상당수 학교들이 휴업을 하고 있다. 심지어 인명피해까지 나고 있으며 피해가 심한 강원도의 경우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피해가 커지자 지자체 공무원과 봉사단체, 기업들이 복구작업에 직접 참가하거나 물품 및 성금 등의 지원에 나서고 있다. 군과 경찰도 제설작업에 큰 힘을 보태고 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보인다.
이번 폭설은 가히 재난 수준인데도 경북도의 역할이 보이지 않는다. 이런 재난이 닥치면 당연히 경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가 나타나야 하는데 지금은 존재감이 없다.
도지사와 도청의 간부들, 그리고 지자체장들이 폭설현장에 도착해 주민들을 위로하고 제설작업에 나선 사람들을 격려하는 것을 보면 재난상황은 분명하다. 그런데도 정작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잠자고 있다.
현재의 폭설 상황이라면 재난안전대책본부는 당장 군과 경찰 등 재난관련 ‘유관기관’들을 소집해 체계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대책본부가 아무런 역을 하지 않으니 군과 경찰은 부대단위로 제각각 지원에 나서고 있다.
또 자원봉사자 모집이라든지, 성금전달 등도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예컨대 자원봉사자를 모집한다면, 재난대책본부가 경북자원봉사센터와 협의해 자원봉사 모집에서부터 파견 지역, 봉사할 내용 등을 지원자나 단체에 구체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지금쯤 대학이나 기업, 사회단체 등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재해현장으로 가 자원봉사를 하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어디에 가서 무슨 지원활동을 할 것인지, 식사는 어떻게 해결하고,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등을 알아야 할 터인데, 지금 일손 부족한 해당 시군에 전화를 하면 여러 곳으로 전화를 돌려야 하는 상황이 전개될 것이 뻔하다. 이래가지고는 봉사할 마음을 잃을 수도 있다.
물품이나 성금지원도 마찬가지다. 피해 시군에 기증을 해야 할지, 경북공동모금회를 찾아가야 할지, 경북도청을 찾아야 할 지 막막할 것이다.
지금 당장 재난안전대책본부가 가동돼야 한다. 그래서 폭설이 닥친 시군을 위해 다른 시군 및 군과 경찰에 필요한 장비와 인원 지원을 요청하고, 자원봉사자를 모집해 적정인원을 적소에 파견해야 한다.
물품과 성금 모금을 위한 창구도 열고, 피해지역으로부터의 필요 항목도 보고받아야 한다. 이 상황이 크든 작든 주먹구구식으로 복구작업이 진행돼서는 안 된다. 이런 비상상황은 극복과정이 체계적이면 더 큰 재해를 대비하는 귀한 약이 될 수 있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