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리단길 젠트리피케이션 경주시가 조절하라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8-08-19 19:00본문
경주 황리단길에 우려했던 일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 여행자들에게는 새로운 콘텐츠가 생겨나 즐거운 일이지만 그곳의 상인들과 지주의 갈등이 불거질 조짐이 보인다.
바로 낙후됐던 구도심이 번성해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인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문제다. 과거 형편없이 낙후됐던 지역이 일약 전국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르자 생겨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현재 황리단길에서 각종 업장을 꾸리고 있는 상인들은 대부분 임차인들이다. 낙후된 도로변 상가건물에 세들어 새롭게 꾸미고 경주의 중요한 관광 인프라인 황리단길을 조성했다.
물론 이 지역이 이렇게 성업할 줄은 아무도 몰랐다. 하나둘 업소가 늘어나고 매체에서 소개함으로써 경주를 찾는 여행자들이 이곳을 찾게 되고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한 상인들이 비교적 활황인 황리단길로 몰리면서 빈 점포를 구하기 힘든 상태에까지 발전했다.
그런데 건물주들이 태도를 바꾼 것이다. 월세를 인상해 달라는 요구와 함께 임대차 계약기간을 1년으로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임대료는 과거 황리단길이 조성되기 이전과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올랐고 그나마 계약기간을 1년으로 정해 상황에 따라 상승이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아무리 영업이 잘 된다 하더라도 이 지역의 업소는 대개 20여평 미만의 소규모 업장이고 오르는 임대료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도로변 황리단길은 물론이고 골목길조차도 대도시의 자본가들이 가옥을 사들여 원주민들이 고향을 떠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다. 부재지주들은 가옥을 매입한 후 새롭게 리모델링하고 매입한 가격보다 훨씬 비싸게 매도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신종 부동산 투기인 셈이다.
이 같은 젠트리피케이션은 황리단길이 핫 플레이스로 부상하면서 운명적으로 겪어야 할 사회 갈등 요인이기도 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민들의 자율적인 양보와 협의가 가장 이상적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이 지역의 발전을 위한다면 반드시 그래야 한다. 하지만 이 지역의 주민들의 민의가 과연 그 정도로 성숙했는가를 따져봐야 한다. 그렇다면 행정이 개입할 수도 있다. 일정기간 동안 임대료를 동결하고 임대차 계약기간을 늘려주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행정이 지원부터 해야 한다. 황리단길의 발전을 위해 행정이 우선 지원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막아야 한다. 이런 예는 얼마든지 있다. 가까운 울산 중구 문화의거리가 그렇게 하고 있다. 집중적인 지원을 해주면서 건물주들의 횡포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건물주들은 재산가치가 상승하는 이익을 보면서 인내하는 것이다. 경주시도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모처럼 생겨난 중요한 관광 콘텐츠 하나가 꽃이 피기도 전에 시드는 불행한 현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바로 낙후됐던 구도심이 번성해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인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문제다. 과거 형편없이 낙후됐던 지역이 일약 전국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르자 생겨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현재 황리단길에서 각종 업장을 꾸리고 있는 상인들은 대부분 임차인들이다. 낙후된 도로변 상가건물에 세들어 새롭게 꾸미고 경주의 중요한 관광 인프라인 황리단길을 조성했다.
물론 이 지역이 이렇게 성업할 줄은 아무도 몰랐다. 하나둘 업소가 늘어나고 매체에서 소개함으로써 경주를 찾는 여행자들이 이곳을 찾게 되고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한 상인들이 비교적 활황인 황리단길로 몰리면서 빈 점포를 구하기 힘든 상태에까지 발전했다.
그런데 건물주들이 태도를 바꾼 것이다. 월세를 인상해 달라는 요구와 함께 임대차 계약기간을 1년으로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임대료는 과거 황리단길이 조성되기 이전과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올랐고 그나마 계약기간을 1년으로 정해 상황에 따라 상승이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아무리 영업이 잘 된다 하더라도 이 지역의 업소는 대개 20여평 미만의 소규모 업장이고 오르는 임대료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도로변 황리단길은 물론이고 골목길조차도 대도시의 자본가들이 가옥을 사들여 원주민들이 고향을 떠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다. 부재지주들은 가옥을 매입한 후 새롭게 리모델링하고 매입한 가격보다 훨씬 비싸게 매도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신종 부동산 투기인 셈이다.
이 같은 젠트리피케이션은 황리단길이 핫 플레이스로 부상하면서 운명적으로 겪어야 할 사회 갈등 요인이기도 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민들의 자율적인 양보와 협의가 가장 이상적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이 지역의 발전을 위한다면 반드시 그래야 한다. 하지만 이 지역의 주민들의 민의가 과연 그 정도로 성숙했는가를 따져봐야 한다. 그렇다면 행정이 개입할 수도 있다. 일정기간 동안 임대료를 동결하고 임대차 계약기간을 늘려주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행정이 지원부터 해야 한다. 황리단길의 발전을 위해 행정이 우선 지원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막아야 한다. 이런 예는 얼마든지 있다. 가까운 울산 중구 문화의거리가 그렇게 하고 있다. 집중적인 지원을 해주면서 건물주들의 횡포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건물주들은 재산가치가 상승하는 이익을 보면서 인내하는 것이다. 경주시도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모처럼 생겨난 중요한 관광 콘텐츠 하나가 꽃이 피기도 전에 시드는 불행한 현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