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상황 타계책은 사회적 기업 지원이다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8-02-18 20:11본문
대구·경북지역 고용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대구·경북 모두 지난달 취업자 수는 줄고 실업자 수는 늘어 대구와 경북 모두 실업률이 4%대로 올라섰다.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월 대구·경북지역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의 취업자 수는 119만4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만8천명 감소했다.
2013년 9월 119만5천명 이후 처음으로 120만명대 아래로 내려갔다. 경북의 경우에도 취업자는 137만3천명으로 같은 기간 1만5천명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분야는 대구의 경우 도소매·숙박음식점업 2만9천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2만2천명, 제조업 1천명 등 지역 산업 근간이자 최저임금 인상 영향에 직격탄을 맞은 제조·서비스업 위주로 취업자 수가 크게 줄었다. 경북도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 1만6천명, 도소매·숙박음식점업에서 4천명이 줄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실업자 수는 5만4천명으로 같은 기간 2천명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3.7%로 내려갔던 실업률은 다시 4.3%로 올라섰다. 경북지역 실업자 수도 5만8천명으로 1만1천명 증가했다. 지난해 5월부터 1,2%대를 유지했던 실업률은 지난달 4.0%로 크게 뛰었다.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도 문제다. 가사와 육아, 학업 등을 이유로 일이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 인구는 대구가 86만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3만9천명 증가했다.
경북의 비경제활동인구 또한 88만4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4천명 늘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1.8%로 전년 동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수치만 놓고 보면 고용시장 전반에 어느 곳 하나 희망을 보이고 있는 구석이 없다.
문제는 앞으로의 고용상황 또한 불투명하다는데 있다. 가장 큰 변수는 오는 6월에 있을 지방선거다. 선거 때가 되면 구직활동 보다는 당장 눈앞에 닥친 선거운동이나 그 관련업무로 인해 취업시장은 개점휴업 상태를 맞게 된다. 자치단체장이 다음선거에 출마를 하는 경우 단체장 부재로 인한 취업률 독려도 기대할 수 없다.
특히 현단체장의 출마로 몇 개월의 업무공백이 있고 부단체장이 그 업무를 대행해야 하나 선거관리에만도 버거운 상황이라 일자리 마련과 취업률에 신경을 쓸 여력이 없어지게 된다.
대구·경북지역의 악화된 고용상황을 타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지원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대안이다. 이익창출이 아니라 고용을 위해서 일자리를 만드는 사회적기업의 육성, 지원이야말로 이같은 어려운 일자리 창출을 타계해 나가는데 적격이다. 각 지자체는 예산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중앙정부와 협력해 사회적 기업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특히 평소 사기업이나 공공부분의 손길이 닿을 수 없었던 공공서비스 부분이나 중장기적으로 지역의 경쟁력을 갖춰야 할 부분, 주민복리를 위한 사업 등에 사회적 기업 육성은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현 지자체장이 지방선거에 나서는 지자체의 부단체장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2013년 9월 119만5천명 이후 처음으로 120만명대 아래로 내려갔다. 경북의 경우에도 취업자는 137만3천명으로 같은 기간 1만5천명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분야는 대구의 경우 도소매·숙박음식점업 2만9천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2만2천명, 제조업 1천명 등 지역 산업 근간이자 최저임금 인상 영향에 직격탄을 맞은 제조·서비스업 위주로 취업자 수가 크게 줄었다. 경북도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 1만6천명, 도소매·숙박음식점업에서 4천명이 줄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실업자 수는 5만4천명으로 같은 기간 2천명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3.7%로 내려갔던 실업률은 다시 4.3%로 올라섰다. 경북지역 실업자 수도 5만8천명으로 1만1천명 증가했다. 지난해 5월부터 1,2%대를 유지했던 실업률은 지난달 4.0%로 크게 뛰었다.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도 문제다. 가사와 육아, 학업 등을 이유로 일이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 인구는 대구가 86만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3만9천명 증가했다.
경북의 비경제활동인구 또한 88만4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4천명 늘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1.8%로 전년 동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수치만 놓고 보면 고용시장 전반에 어느 곳 하나 희망을 보이고 있는 구석이 없다.
문제는 앞으로의 고용상황 또한 불투명하다는데 있다. 가장 큰 변수는 오는 6월에 있을 지방선거다. 선거 때가 되면 구직활동 보다는 당장 눈앞에 닥친 선거운동이나 그 관련업무로 인해 취업시장은 개점휴업 상태를 맞게 된다. 자치단체장이 다음선거에 출마를 하는 경우 단체장 부재로 인한 취업률 독려도 기대할 수 없다.
특히 현단체장의 출마로 몇 개월의 업무공백이 있고 부단체장이 그 업무를 대행해야 하나 선거관리에만도 버거운 상황이라 일자리 마련과 취업률에 신경을 쓸 여력이 없어지게 된다.
대구·경북지역의 악화된 고용상황을 타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지원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대안이다. 이익창출이 아니라 고용을 위해서 일자리를 만드는 사회적기업의 육성, 지원이야말로 이같은 어려운 일자리 창출을 타계해 나가는데 적격이다. 각 지자체는 예산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중앙정부와 협력해 사회적 기업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특히 평소 사기업이나 공공부분의 손길이 닿을 수 없었던 공공서비스 부분이나 중장기적으로 지역의 경쟁력을 갖춰야 할 부분, 주민복리를 위한 사업 등에 사회적 기업 육성은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현 지자체장이 지방선거에 나서는 지자체의 부단체장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